"✅ 성공하는 로컬투어랩 사업계획서는 '문제 해결'과 '스토리'를 동시에 담는다!"
로컬투어랩사업은 단순히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다.
지역여행콘텐츠 개발, 관광 인프라 개선, 명확한 타겟 고객 설정, 차별화된 체험형 상품 기획,
그리고 스토리텔링과 확산 전략까지 통합적으로 구성된 사업계획서를 요구한다.
1️⃣ 사업 명칭
[지역명] × [키워드] 로컬 투어랩 프로젝트
(예시: "순천 감성미식로드", "강진 힐링여행연구소")
TIP:
지역명 + 감성 키워드 조합
●간결하고 강렬한 인상 남기기
2️⃣ 사업 개요
사업목적: 지역 고유의 로컬리티를 기반으로 체험형 관광콘텐츠를 개발하고, 지역여행 및 관광 관련 단체와 협력하여 지속 가능한 관광 생태계를 조성한다.
주요 추진 내용: 지역 특화 먹거리·체험 콘텐츠 개발, 관광 인프라 개선, 지역 소상공인·로컬크리에이터 협업 추진
TIP:
"왜, 무엇을, 어떻게"를 30초 안에 이해할 수 있게 써라!
3️⃣ 시장 분석 및 문제 정의 예시
① 시장 분석
-20~40대 MZ세대 중심, 감성/체험형 여행 수요 폭발
-기존 대도시 관광 포화 → 지방 소도시 여행 수요 급증
-ESG 기반 지속가능 관광 트렌드 확산
② 지역 관광상품 문제점
-스팟형 관광 위주 → 스토리와 체험 부재
-관광 인프라(교통, 숙박, 체험장) 낙후
-로컬리티 약한 콘텐츠 → 차별성 부족
-구시대적 홍보방식 → 감성적 마케팅 부재
③ 타겟 고객 니즈/문제
-‘나만의 경험’, ‘감성적 체험’을 원한다.
-쉽고 편리하게 체험할 수 있는 패키지를 선호한다.
-SNS에 공유할만한 스토리와 감성 콘텐츠를 찾는다.
4️⃣ 사업모델: 문제 해결 및 차별화 전략
▶ 지역여행 및 관광 관련 단체 참여
관광공사, 지자체, 지역 문화관광재단, 마을기업 등과 협력
▶ 지역 특화 체험형 관광상품 개발
-먹거리 + 체험 + 숙박 패키지형 상품 기획
예시: 순천 할머니 손맛 투어(전통시장 투어 + 쿠킹클래스)
▶ 관광 인프라 개선
-체험장 리뉴얼 및 안전 강화
-교통·숙박 연계 강화 (셔틀버스 운영, 숙박 할인 제휴)
-스마트 안내 시스템(QR코드 맵, 디지털 가이드)
▶ 차별화된 스토리텔링
-예시: "조선 선비들의 감성로드를 따라 걷는 강진 투어"
-여행상품 하나하나에 지역의 이야기, 감성을 담아낸다.
▶ 지역 일자리 창출 및 사회적 가치 실현
-지역민 체험 강사, 가이드 채용
-청년 로컬 스타트업 협력
-지속가능 관광 생태계 조성
5️⃣ 상품 및 서비스 예상 성과 예시
-체험형 패키지 상품 출시 수: 6개 이상
-상품 판매 목표: 1,500건 이상
-SNS 콘텐츠 조회수 목표: 50만 회 이상
-연계 소상공인 파트너십 수: 10개 이상
-방문객 재방문율 목표: 30% 이상
TIP:
숫자는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하게 잡아야 설득력이 높다.
6️⃣ 홍보마케팅 및 확산 전략
▶ 스토리 중심 디지털 마케팅
-지역 로컬리티를 녹인 숏폼 영상 제작
-인스타그램, 유튜브, 틱톡 연계 바이럴 마케팅
-지역 로컬 크리에이터와 협업 콘텐츠 제작
▶ 오프라인 커뮤니티 확산
-지역 축제와 연계한 체험 팝업존 운영
-지역 학교, 청년단체와 연계 체험 프로그램 기획
▶ 언론 PR 전략
-지역미디어 및 전국관광전문지 타겟 보도자료 배포
-"감성여행지 발견" 테마 특집기사 유도
7️⃣ 운영조직 구성 및 지속가능성 확보
▶ 운영조직
-총괄 기획팀, 콘텐츠 개발팀, 마케팅팀, 현장 운영팀으로 구성
-지역 관광단체, 소상공인, 스타트업과 협력 체계 구축
▶ 일자리 창출
-지역 청년 채용
-로컬가이드, 체험강사 육성
▶ 지속가능성 전략(ESG)
-환경친화 체험 프로그램 개발
-지역사회 환원 모델 설계
-관광 수익 일부를 지역에 기부 연계

✨ 최종 정리 : 로컬투어랩 사업계획서 작성 핵심
✅ 명확한 타겟 고객 분석 + 니즈 기반 상품 기획
✅ 기존 지역관광 문제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과 해결모델 제시
✅ 지역여행 콘텐츠 + 관광 인프라 개선 동시 추진
✅ 로컬리티 기반 스토리텔링형 체험 상품 기획
✅ 감성적 디지털 마케팅 확산 전략 구축
✅ 지역 단체 및 민간 스타트업 협력 모델 설계
✅ 지속가능성(ESG) 기반 일자리 창출 강조
✨ 차별화 전략 제시
✅ 1. 지역 로컬리티 강화
단순한 관광이 아니라 '이 지역에서만 가능한 경험'을 강조하라.
✅ 2. 체험형 콘텐츠 집중 개발
먹고, 보고, 체험하는 것 모두를 한 코스로 연결하는 복합 콘텐츠를 만들자.
✅ 3. 민간 파트너십 적극 구축
지역 소상공인, 청년창업자, 로컬크리에이터와 수익공유 모델을 설계하라.
✅ 4. 지속가능성(ESG) 강조
환경 보호, 지역 사회 기여 등 지속가능성을 전략에 반영해 차별화된 이미지를 구축하라.
✅ 5. 디지털 콘텐츠 최적화
SNS 콘텐츠, 숏폼 영상, 스토리텔링 중심으로 바이럴 확산을 노려라.
"문제를 정확히 짚고, 해결 방법을 제시하며,
스토리와 감성으로 풀어내는 사업계획서"
만이 로컬투어랩 성과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지역여행 혁신의 새로운 기준,
지금 바로 여러분이 만들어야 할 때다!

#김용한컬럼 #김용한박사 #김용한강사 #소도시여행권역 #로컬투어랩 #지역여행활성화 #소도시육성 #관광벤처 #관광스타트업 #로컬크리에이터 #로컬리티 #지역특화먹거리 #체험콘텐츠 #지역여행콘텐츠 #관광인프라 #연계상품개발 #지자체협력 #지속가능한여행 #스타트업성장 #지역경제활성화
Copyright@김용한
'로컬, 관광 활성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컬관광 콘텐츠와 상품, 그저 그런 다양성이 아니라, 해당 로컬만의 온리원과 특별한 경험에 집중하라! (4) | 2025.05.03 |
---|---|
치유관광전문가 컬럼: '치유관광산업육성법' 시행이 로컬 관광스타트업, 관광기업 육성에 미치는 파급효과 (0) | 2025.04.04 |
로컬관광강사 컬럼: '치유관광산업 육성법'이 제정 내용과 향후 파급효과 (2) | 2025.04.02 |
전국 지자체가 케이블카·출렁다리를 설치하는 이유와 그 문제점 (0) | 2025.02.16 |
🚀 5배 폭증! 진천 농다리 방문객 170만 명 돌파, 그 이유는? (2)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