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챗GPT 등

ChatGPT '내 GPTs 만들기' 모델선택 기능 추가! 그 내용과 GPTs별 최적모델 설정 전략

멘토 K 2025. 6. 23. 20:36
반응형
 

📢 ChatGPT ‘내 GPTs 만들기’에 모델 선택 기능 추가! – 어떤 모델을 써야 할까? 그 전략을 공개합니다 🎯

“GPT를 직접 만들 수 있다니!” 그 설렘 속에서 GPT를 만들다 보면, 이런 고민이 생긴다.

“내 GPT에 어떤 모델이 가장 잘 어울릴까?”

이제는 더 이상 막연할 필요가 없다.

최근 OpenAI가 ‘내 GPTs 만들기’ 기능에 모델 선택 기능을 공식 추가했다.

이제, 제작자가 GPT 목적에 맞는 모델을 직접 지정할 수 있다.

이 글은 그 기능의 핵심과 함께, GPT 목적별 최적 모델 선택 전략을 실전적으로 정리했다.


 

🛠 GPT 빌더에 모델 선택 기능이 추가되었다! – 무엇이 달라졌나?

지금까지 GPT를 만들 때, 내부적으로 어떤 모델이 작동하는지는 사용자도 제작자도 모르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제는 다르다.

‘내 GPTs 만들기’ 페이지의 설정(Build 탭)에서, GPT의 용도에 따라 모델을 선택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텍스트 중심 GPT’에는 GPT-4.5 또는 o3-mini

●‘이미지 해석 GPT’에는 GPT-4o

●‘빠른 답변 GPT’에는 o4-mini 등 이처럼 GPT의 목적과 기능에 따라 추천 모델이 뜨고, 이를 기반으로 보다 정확하고 일관된 성능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입장에서도, 해당 GPT가 어떤 모델 기반으로 만들어졌는지 확인 가능해져 신뢰도가 높아졌다.

모델 선택은 단순한 옵션이 아니라, 사용 경험을 좌우하는 핵심 설계 요소가 된 셈이다.

 

🧠 어떤 GPT에 어떤 모델이 가장 잘 맞을까? GPT별 최적 모델 전략

GPT는 목적이 뚜렷하다.

누군가는 보고서용으로 만들고, 누군가는 이미지 분석용, 또 누군가는 계산용으로 만든다.

이 목적에 따라 선택할 모델도 달라져야 한다. 아래는 GPT 목적별 추천 전략이다.

📸 1. 이미지 분석·시각 콘텐츠 기반 GPT

추천 모델: GPT-4o

○이미지, PDF, 표 등 시각적 콘텐츠 해석에 탁월

○사용자로부터 받은 시각 입력(예: 스크린샷)을 분석해야 하는 GPT라면 4o가 정답이다

○음성도 포함되는 멀티모달 GPT라면 이외 대안은 없다

✍️ 2. 글쓰기, 창의 콘텐츠 생성용 GPT

추천 모델: GPT-4.1 또는 GPT-4.5

○광고 카피, 블로그 포스팅, 리포트 작성 등 창의적 표현이 필요한 GPT에 적합

○긴 호흡의 문장과 정제된 표현, 감정 담긴 서술이 필요한 GPT는 4.5 계열이 안정적이다

💻 3. 계산, 코딩, 기술지식 기반 GPT

추천 모델: o3 또는 o3-mini

○수학 계산, 백엔드 로직 설계, 복잡한 코딩 문제를 푸는 GPT는 정확성과 논리성이 중요하다

○GPT-4 계열은 창의적이지만 논리적 일관성은 o3 계열이 더 우세하다

○특히 o3-mini는 적절한 균형을 제공

4. 빠른 응답과 간단한 기능 GPT

추천 모델: o4-mini

○단순 정보 제공, 빠른 요약, 짧은 대화 GPT라면 비용과 속도를 중시해야 한다

○o4-mini는 가볍고 빠르며, 경제성까지 챙긴 경량화 모델이다


🧩 모델 선택 시 반드시 체크해야 할 4가지 포인트

1️⃣ GPT의 기능 구조 분석

GPT가 텍스트만 다루는지, 이미지도 다루는지, 또는 음성 피드백도 필요한지 파악하자.

→ 시각 요소가 포함되면 무조건 GPT-4o가 필요하다.

2️⃣ 속도 vs 품질 vs 비용의 균형

GPT-4.5는 뛰어나지만 비용과 속도가 부담일 수 있다.

→ 중간 성능+합리적 비용을 원하면 o3-mini, o4-mini가 대안이 된다.

3️⃣ 호환성 제한 체크

일부 액션 기능, 외부 API 연동, 브라우징 기능은 특정 모델에서만 작동한다.

→ 예를 들어 GPT-3.5 계열은 브라우징이나 파일 읽기 기능에 제약이 많다.

4️⃣ 버전 교체에 유연하게 설계하라

GPT를 만들 때는 처음부터 버전에 고정하지 말고, 피드백을 통해 모델을 교체할 여지를 남겨두는 것이 좋다.


🔎 컨설턴트가 보는 이 기능의 전략적 가치

이번 업데이트는 단순한 기능 개선이 아니다.

GPT 제작의 전문성과 전략성을 요구하는 전환점이다.

이전에는 ‘뭔가 되겠지’의 영역이었다면, 이제는 ‘정확히 어떤 기능에 어떤 모델을 써야 할지’를 설계해야 한다.

특히 GPT를 비즈니스용으로 만드는 사람이라면, 고객 요구에 맞춘 정확한 성능 설정이 중요해졌다.

AI 기반 서비스 기획, 퍼스널 GPT, 내부 헬프봇 등에 있어 모델 선택은 UX 품질의 기준점이 된다.


✅ 마무리: 이제는 전략적으로 GPT를 만든다

GPT 만들기는 더 이상 장난이 아니다.

모델 선택이라는 결정 하나가, 결과의 질, 속도, 비용, 신뢰도를 결정한다.

이제 GPT를 만들 때는 이렇게 생각하자.

🔸 “이 GPT가 다룰 콘텐츠는 텍스트인가 이미지인가?”

🔸 “이 GPT는 빠르게 반응해야 하는가? 정확해야 하는가?”

🔸 “예산은 여유가 있는가? 경량화를 원하는가?”

🔸 “고객은 어떤 수준의 결과를 기대하는가?”

이 질문에 답하면, 당신의 GPT는 단지 작동하는 도구가 아니라, 정확하게 목표를 수행하는 AI 파트너가 된다.


#김용한컬럼 #김용한박사 #김용한강사 #GPT모델선택 #내GPTs #ChatGPT빌더 #GPT4o #GPT45 #GPTo3 #GPT설정전략 #AI전략 #GPT모델비교 #OpenAI업데이트 #GPTUX설계 #AI비즈니스 #모델최적화전략 #인공지능마케팅 #커스텀GPT #생성형AI전략

Copyright@김용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