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한 컬럼

🔥 D-1! 2025 창업중심대학 사업계획서 마감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핵심 꿀팁 🔥

김용한 2025. 4. 1. 11:34
반응형

"사업계획서 제출 마감 하루 전, 이 글을 보셨다면 다행입니다!" ⏳

많은 창업자들이 마감 직전까지 밤을 새며 사업계획서를 완성합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얼마나 잘 썼느냐’가 아니라 ‘심사위원이 납득하고 감동하게 썼느냐’입니다.

창업중심대학 사업계획서는 단순히 형식 맞춰 채우는 문서가 아니라, 당신의 사업을 심사위원에게 투자받듯 어필하는 프레젠테이션입니다.

📌 이제 마감까지 단 하루, 당신의 사업계획서가 경쟁 속에서 ‘선택’ 받기 위한 핵심 포인트들을 정리해 드립니다.


🎯 01. 1페이지 안에 승부를 걸어라! (요약문 = 피칭 한 방)

사업계획서의 요약문은 말 그대로 "심사위원이 10초 안에 당신 사업을 이해하고 관심을 갖게 만드는 자리"다.

여기서 끌리지 않으면 다음 장은 ‘형식적으로’ 넘겨지기 쉽다.

꿀팁

  • 문제 → 해결책 → 수익모델 → 시장 가능성 → 기대 효과의 구조로 딱 한 페이지 구성
  • '누구의 어떤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며, 어떻게 돈을 벌고, 얼마나 성장할 수 있나?'를 명쾌하게 써라
  • 이 문장 하나로 시작해 보라!

“현재 [타겟고객]은 [문제]를 겪고 있으며,

우리는 [솔루션]을 통해 이를 해결하고, [시장/수익 가능성]을 기대합니다.”

멘토K


💡 02. 사업 아이템이 ‘왜 지금’ 필요한가를 설득하라!

기술이 좋다, 창의적이다만으로는 부족하다.

시대적 필요성, 정책 트렌드, 시장의 구조적 문제와 기회를 함께 연결시켜야 한다.

꿀팁

  • 최근 사회 이슈, 정책 변화, 기술 트렌드 등을 근거로 ‘왜 지금 이 사업이 필요한가’를 서두에 설명
  • ‘시장 타이밍’을 강조하며, 지금 시작하지 않으면 놓칠 기회를 보여주자!
 

📈 03. 시장분석은 ‘표현’이 아니라 ‘설득’이다.

단순히 시장규모 데이터만 나열하면 안 된다.

고객이 실제로 이 제품/서비스를 구매할지에 대한 논리적인 흐름과 증거가 핵심이다.

꿀팁

  • TAM(총시장) → SAM(가용시장) → SOM(내가 잡을 수 있는 시장)의 논리로 작성
  • 리서치 데이터 + 실제 인터뷰/설문 + 경쟁자 분석(표로 정리)
  • 경쟁자 대비 ‘우위 요소’를 한 줄로 정리할 수 있어야 한다.

💸 04. 수익모델은 복잡하지 말고, 검증 가능하게

수익모델은 간단하고 명확해야 하며, ‘처음 매출이 어떻게 만들어지는가’가 중요하다.

가설이 아니라, 근거 있는 시뮬레이션이 필요하다.

꿀팁

  • 첫 매출이 발생하는 구조를 설명 (예: 3개월 MVP → 베타 사용자 → 정식 출시 → 월정액 1만원, 100명 확보)
  • 향후 확장 모델은 간단히 추가하되, 핵심은 ‘지금 당장 시작해서 돈이 벌리는 구조’
  • 예상 매출과 비용은 6개월 단위로 시나리오별로 제시

👥 05. 팀의 역량은 ‘기술보다 실행’ 중심으로

심사위원은 당신의 열정이 아니라, 실행력 있는 사람인지를 본다.

기술 개발자, 디자이너, 마케팅, 운영 등 역할과 성과 중심으로 팀의 역량을 설득하라!

꿀팁

  • 핵심 인력의 이전 프로젝트, 실적, 경력 중심으로 설명
  • “이 팀은 실행해 본 경험이 있고, 실패해도 다시 일어날 팀이다”라는 인상을 주어야 함
  • 외부 자문단이나 멘토도 팀 역량에 포함시켜 ‘보완 가능성’을 강조

 

📌 06. 실제로 실행할 사업인지, 보여주기용인지 구분된다.

심사위원은 경험상 ‘허상’과 ‘진심’을 구분할 줄 안다.

단 한 문장, 단 한 페이지에서 당신이 진짜 실행할 사람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꿀팁

  • 사업 시작 전부터 어떤 준비를 해왔는지, 어떤 행동을 했는지 구체적으로 써라 (MVP 제작, 시장 인터뷰, 사전 테스트 등)
  • 앞으로 6개월간 실행 계획은 날짜와 내용 중심으로 상세하게 제시
  • "이 계획은 당장 내일부터라도 실행할 수 있다"는 느낌이 들게 구성

🧠 심사위원의 마음을 잡는 한 줄 카피

“심사위원은 완벽한 문서를 찾지 않는다. 진짜 실행할 창업자를 찾는다.”

멘토K


🙌 멘토K의 마지막 한 줄 요약

요약문으로 심사위원의 관심을 사로잡고,

‘왜 지금 이 사업이 필요한가’를 명확히 설명하고,

시장과 수익 모델을 구체적으로 설득하며,

팀의 실행력을 뒷받침하고,

실전형 계획을 진정성 있게 담아야 한다.

이제 마무리 시간입니다.

여러분의 창업계획이 단순한 아이디어에서 멈추지 않고, 실현 가능한 사업으로 인정받길 멘토K가 응원합니다!

제출 전에 이 글 한 번 더 보며 점검하세요! 💪🔥

스타트업 성공적인 창업과 스캐일업을 원한다면,

아래 책들을 참고하세요!

 

#김용한컬럼 #김용한박사 #김용한강사 #창업중심대학 #사업계획서 #창업지원사업 #청년창업 #스타트업계획서 #사업계획서작성팁 #사업계획서꿀팁 #창업성공전략 #시장분석 #수익모델작성 #팀구성전략 #피칭전략 #K스타트업 #창업교육 #실행력있는팀 #스타트업멘토링 #창업계획서마무리 #멘토K

Copyright@김용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