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한의 비즈니스 인사이트

비즈니스와 일상에서의 뉴스와 정보에 대한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탐색합니다!!

김용한 컬럼

백종원의 '빽햄' 논란, 할인율로 속이는 상술인가? 후발주자의 합리적인 가격인가?

김용한 2025. 1. 31. 11:57
728x90
반응형
 

명절이 다가오면 선물세트 시장을 두고 뜨겁게 달아오른 시기의 논란에 대해 알아본다.

하지만 올해는 예년과 다른 논란이 중심에 섰다.

바로 백종원의 '빽햄'이 그것이다. 최근 ‘빽햄’의 45% 할인 행사에 대한 논란이 커지면서 소비자들 사이에서 다양한 의견이 오가고 있다.

할인율을 과장하는 상술이라는 비판과 후발주자로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합리적인 가격책정이라는 입장이 맞서고 있다.

그렇다면 ‘빽햄’ 논란의 핵심은 무엇이고, 이 사건이 시장에 미칠 파급효과는 어떠할까?


 

'빽햄' 할인 논란, 소비자는 왜 분노했나?

백종원의 ‘빽햄’은 기존 햄 시장의 강자들과 경쟁하기 위해 등장한 후발주자다.

명절을 앞두고 200g짜리 9개가 들어 있는 선물세트를 정가 5만1900원에서 2만8500원으로 45% 할인 판매하면서 논란이 시작됐다.

 

소비자들은 경쟁사의 유사 제품 대비 ‘빽햄’의 정가가 높게 책정되었다는 점과 당초에도 쿠팡 등에서 할인판매를 해왔으면서 백종원이 나서 마치 이번에만 대폭 할인판매하는 것처렁 판매했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실제로 경쟁 제품의 정가가 ‘빽햄’보다 낮거나 비슷한 가격대에서 판매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가를 의도적으로 높게 설정한 후 큰 폭의 할인을 적용해 소비자를 속이려 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또한, ‘빽햄’의 고기 함량도 논란의 대상이 됐다.

경쟁 제품 대비 고기 함량이 낮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품질은 낮추고, 가격은 높게 설정한 후 할인율만 부각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커졌다.


백종원의 해명, 그리고 소비자의 반응

논란이 확산되자 백종원 대표는 직접 해명에 나섰다.

그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빽햄은 후발주자로서 생산 단가가 높을 수밖에 없고, 할인 후에도 마진이 거의 남지 않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고기 함량이 낮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빽햄은 양념이 더해진 스타일로 맛의 차별화를 두었으며, 단순히 고기 함량만으로 제품의 품질을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반박했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일부는 백 대표의 해명을 받아들이고, 후발주자로서의 도전을 응원했다.

하지만 여전히 상당수 소비자는 "그렇다면 처음부터 합리적인 가격으로 책정했어야 하지 않느냐"는 의구심과 왜 후발주자의 높은 생산원가를 소비자가 부담하느냐 등의 반발이 존재했다.

 

‘빽햄’ 논란이 주는 시사점, 그리고 시장의 변화

이번 ‘빽햄’ 논란은 단순한 가격 논쟁을 넘어, 현대 소비자들이 얼마나 가격과 품질, 그리고 눈속임 상술에 민감한지를 보여주는 사례가 되었다.

1. 투명한 가격 정책의 중요성

할인 마케팅은 소비자를 유인하는 효과적인 전략이지만, 지나친 정가 조정, 위장 할인은 오히려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다.

소비자들은 이제 단순한 할인율보다 실질적인 가격 경쟁력을 더욱 중요하게 여긴다.

2. 브랜드 신뢰는 한순간에 무너질 수 있다.

백종원 대표는 골목식당, 흑백요리사 등의 신뢰도 높은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해 왔다.

하지만 이번 사건처럼 작은 논란이라도 발생하면 브랜드 신뢰도가 흔들릴 수 있다.

특히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를 통해 소비자들의 목소리가 즉각적으로 퍼지기 때문에 기업들은 더욱 조심해야 한다.

3. 후발주자의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

‘빽햄’이 기존 강자들과 차별화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가격 경쟁이 아니라, 독자적인 제품 가치와 브랜드 철학을 명확히 해야 한다.

예를 들어, 건강한 원재료를 강조하거나, 백종원 브랜드만의 특별한 조리법을 강조하는 등의 차별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당연히 이는 이미지 만이 아니라 품질경쟁력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빽햄’ 사태, 단순한 논란이 아닌 시장의 변화 신호

‘빽햄’ 논란은 단순히 백종원의 브랜드 문제가 아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더 이상 마케팅의 숫자놀음에 속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신호이기도 하다.

이제 기업들은 보다 정직하고 투명한 가격 정책을 펼쳐야 하며, 브랜드 신뢰를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백종원 대표는 엔터, 유통과 외식업에서 성공적인 브랜드를 만들어왔고, 이번 논란 역시 그에게 중요한 교훈이 될 것이다.

과연 ‘빽햄’이 논란을 극복하고 새로운 시장에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그리고 더본코리아의 최근 주가 하락 상황 등 엔터업계에서의 인기와는 다른 기업 상황 등 앞으로의 상황도 주목된다.


#김용한컬럼 #김용한박사 #김용한강사 #백종원 #빽햄 #할인율논란 #제품품질 #소비자신뢰 #마케팅전략 #후발주자 #경영컨설팅 #투명경영 #기업윤리 #시장진입 #가격책정 #고기함량 #소비자반응 #브랜드이미지 #경쟁사비교 #제품개발 #유통전략

Copyright@김용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