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한의 비즈니스 인사이트

비즈니스와 일상에서의 뉴스와 정보에 대한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탐색합니다!!

디지털, 챗GPT 등

ChatGPT 업데이트 : 대화 기반 프로필 생성 기능, 그동안의 대화를 바탕으로 자신의 프로필을 정리해 준다?

김용한 2025. 4. 13. 17:40
반응형
 

✅ 1. 대화 기반 프로필 생성 기능이란?

이는 지금까지의 대화를 분석해 사용자의 관심사, 활동 분야, 성향, 작업 목적 등을 요약하거나 정리해주는 기능이야.

예를 들어 “지금까지의 나를 요약해줘”라고 하면, 너의 질문과 응답 내역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정리해줘.

  • 주요 활동(예: 컨설팅, 강의, 책 집필)
  • 주요 관심사(예: 로컬상권, 스타트업, AI 콘텐츠, 국비공모사업 등)
  • 콘텐츠 제작 성향(예: 블로그, 유튜브, 숏폼)
  • 목표(예: 책쓰기, 보고서, 컨설팅자료 작성 등)

✅ 2. 기능 활용 예시

목적
활용 방식
강의/세미나용 프로필
“나의 활동 기반으로 강의용 프로필 작성해줘”
책 머리말 또는 저자소개
“내가 어떤 사람인지 저자 소개문 형태로 작성해줘”
SNS용 소개문
“인스타그램/스레드 프로필용 자기소개 만들어줘”
사업제안서/신청서용 이력요약
“컨설팅 경험 위주로 요약된 프로필 만들어줘”
AI가 보는 나의 특성 분석
“너가 보기엔 나는 어떤 사람 같아?” 또는 “내 전문성과 특성을 키워드로 정리해줘”

✅ 3. 어떻게 요청하면 되는가?

그냥 이렇게 질문하면 돼:

  • “지금까지의 대화를 바탕으로 내 프로필 작성해줘”
  • “내가 활동한 분야별로 요약해서 설명해줘”
  • “강의 이력과 컨설팅 분야 중심으로 정리해줘”
  • “내가 요즘 자주 말하는 키워드를 뽑아줘”

 

✅ 4. ChatGPT의 내부 기능 설명

ChatGPT에는 사용자의 대화 이력을 기반으로 특정 정보(예: 관심 분야, 목표, 작성 중인 책 등)를 기억하고 문맥에 적용하는 기능이 있어. 이건 ‘사용자 설정 맥락(User Editable Context)’과 ‘장기 기억기능(Long-Term Memory)’으로 구분돼.

User Editable Context: 너처럼 정보 공유한 사용자에 대해 전문성 기반으로 응답할 수 있도록 맥락을 유지하는 기능

Memory 기능: 사용자가 허용하면, 지난 대화에서 얻은 정보를 자동 저장하고 다음 대화에서 참고

이 기능은 설정 > 사용자 > 기억(Memory)에서 켜고 끌 수 있어.


🔔 TIP: 나만의 프로필 자동화 활용 팁

  • ChatGPT를 개인 AI 비서처럼 활용해 업무 정리, 소개문 작성, 발표자료 구성 등에 프로필을 반복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 다양한 버전의 자기소개서(비즈니스용, SNS용, 강의용)를 하나의 대화로 요청해서 다양하게 만들어 볼 수 있어.

필요하다면, 지금 바로

“대화를 바탕으로 한 내 강의용 프로필 작성해줘”

또는

“지금까지의 대화 키워드 중심으로 나를 분석해줘”

라고 해도 OK!


아래는 최근 업데이트 된 ChatGPT의

prompt : 지금까지 대화를 바탕으로 나에 대해 설명해 줘

ChatGPT의 말:

좋습니다. 지금까지의 대화를 바탕으로 정리한 김용한 님에 대한 프로필은 아래와 같습니다.

 

[김용한 박사님에 대한 통합 설명]

김용한 박사님은 2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경영컨설턴트이자, 엠아이전략연구소의 대표로서, 스타트업, 전통시장과 상권, 소상공인, 관광, 로컬 비즈니스, 그리고 국비공모 분야를 중심으로 공공 및 민간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활동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컨설팅 및 정책 기획 전문가

  • 지자체 및 공공기관의 국비공모사업, 지역경제 활성화 전략, 상권재생사업 등 다양한 정책 사업을 설계하고 실행합니다.
  • 특히 상권전문관리자, 자율상권 활성화사업, 시장경영패키지, 전통시장 관광자원화 등의 정책 실행 경험이 풍부합니다.

2. 창업과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 전문가

  • 소상공인과 예비창업자, 스타트업을 위한 컨설팅 및 멘토링, 교육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실무적 전략과 사업모델 구체화에 강점을 보입니다.
  • 특히 최근에는 AI와 디지털을 접목한 창업 전략, 1인기업 2.0, 로컬 기반 창업 등 새로운 흐름에 대한 분석과 제안을 활발히 하고 있습니다.

3. 콘텐츠 마케팅 및 디지털 전략 실천가

  • 직접 블로그, 유튜브, 스레드, 인스타그램 등 다양한 SNS 채널을 운영하며, 콘텐츠를 통해 전문가 인사이트를 전달합니다.
  • AI시대에 맞춰 ChatGPT, SUNO 등 생성형 AI를 활용한 마케팅 콘텐츠 개발AI 기반 전략 보고서 자동화 등에 큰 관심을 갖고 실천 중입니다.

4. 작가 및 교육자

  • 공동저서 외 단독저서 9권 등 여러 권의 책 집필 했으며, 추가 준비 중으로, 주로 다음 주제를 다룹니다.
  • 스타트업 창업 인사이트
  • 스타트업 문제 해결 솔루션
  • 상권 활성화 프로젝트 실무
  • 국비공모사업, 이렇게 준비하라!
  • 퇴직과 은퇴, 인생2막 설계 지침서
  • B2B 디지털 마케팅 바이블
  • 진짜 쉽다! 소상공인 마케팅
  • AI 마인드셋과 AI력으로 리더하라!
  • ChatGPT + SUNO로 만드는 음악 소상공인 마케팅

  • 각 책은 실무자가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사례 중심, 실행 중심의 구성을 지향합니다.
  • 공공기관 및 기업을 대상으로 강의 및 워크숍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5. 상권과 소비 트렌드 분석가

  • AI 시대의 소비자 변화, AIO 콘텐츠 전략, 검색과 소비 방식의 진화 등을 관찰하고 이를 마케팅과 상권 전략에 적용합니다.
  • 최근에는 ‘정보의 시대’에서 ‘해석의 시대’로, 정보소비자에서 통찰 수용자로의 변화를 주제로 콘텐츠를 확장 중입니다.

특징 요약

  • 문제 정의 능력과 실행 전략 수립에 강점
  • 공공사업 제안서, 연구보고서, 컨설팅 보고서 작성 전문가
  • 정책, 기술, 마케팅, 브랜딩을 연결하는 통합적 시각 보유
  • 스타트업과 소상공인 대상의 콘텐츠는 항상 '쉽고 실전적'으로 접근
  • AI와 디지털 도구를 실질적인 마케팅/컨설팅에 접목하려는 실천가형 전문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