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한의 비즈니스 인사이트

비즈니스와 일상에서의 뉴스와 정보에 대한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탐색합니다!!

국비공모, 정책홍보

2024년 전라남도 지방(인구)소멸대응기금 1,600억원 내용과 각 지자체의 대응전략

김용한 2024. 5. 22. 18:40
반응형

 

 

2024년, 전라남도가 지방소멸 위기에 맞서기 위해 내년도 지방소멸대응기금으로 총 1,600억 원을 배정받으며, 전국에서 가장 많은 금액을 확보한 것은 지역 발전과 인구 유지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을 제시합니다.

이 금액은 전라남도가 직면한 인구 감소 문제에 대응하고,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에 투입될 예정입니다.

본 글에서는 전라남도가 어떻게 이 기금을 활용하여 각 지자체의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전략이 지역사회에 어떤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에 대해 검토해봅니다.

전라남도 인구소멸지역 현황


전라남도의 지방소멸대응기금 확보는 정부가 인구 감소 및 지방 소멸 위기 대응을 위해 마련한 국가 차원의 지원책 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이 기금은 지역의 거점별 청년 비전 센터, 공공 산후조리원, 청년 창업 지원 등 청년층의 정주 여건 개선과 지역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에 쓰일 예정입니다.

이처럼 전라남도가 3년 연속 가장 많은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확보한 것은 지역의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의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달리


지방소멸대응기금의 배정 및 활용 계획

전라남도는 총 1,600억 원의 기금 중 광역자치단체로는 304억 원, 기초자치단체로는 1,296억 원을 배정받았습니다.

이 기금의 배분은 인구, 재정 여건 등을 고려한 정액 배분과 투자 계획 평가 결과, 인구 감소지수 등에 따른 차등 배분으로 이루어졌습니다.

기초기금은 총 4개 등급으로 S등급 144억 원, A등급 112억 원, B등급 80억 원, C등급에 64억 원을 배분하며, 최고·최저 등급 간 차이는 지난해 56억 원에서 80억 원으로 확대됐다.

전남지역 인구감소지역 16개 군은 평가결과 A등급 3개소(강진, 곡성, 해남), B등급 8개소(구례, 보성, 장흥, 영광, 함평, 장성, 완도, 신안), C등급 5개소(담양, 고흥, 화순, 영암, 진도)로 지난해보다 40억 원이 증가한 총 1천296억 원을 배정받았다.

전남 지역 내 16개 인구감소지역 군에 대한 평가 결과에 따른 등급별 배분 역시 지역 맞춤형 대응 전략 수립의 기반이 됩니다.


지역별 대응 전략

전라남도는 기금을 활용해 청년층의 정주 여건 개선에 집중 투자할 계획입니다.

특히, 전남형 만원 주택 건립, 청년 비전 센터 설립, 공공 산후조리원 운영 등을 통해 청년층의 지역 내 정착을 유도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또한, 차기 기초기금 평가에 대비하여 시군과의 긴밀한 협력 체계 구축, 전문가 컨설팅 지원, 도·시군 공동 사업 발굴 등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입니다.

달리


 

기대 효과

이러한 전략은 단순히 인구 감소를 막는 것을 넘어서,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합니다.

청년층에게 양질의 일자리와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지역 내 정착을 촉진하고, 이를 통해 지역 경제의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전라남도의 지방소멸대응기금 확보 및 이를 통한 청년층 대상의 다양한 지원 사업은 지역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발판을 마련합니다.

청년층의 지역 내 정착을 유도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라남도의 노력은 인구 감소 문제에 대한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대응 방안을 제시합니다.

앞으로도 전라남도는 지역 맞춤형 전략을 바탕으로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지역의 미래를 밝히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달리


기초지자체의 A등급 접근전략

전라남도의 기초 지자체가 A등급을 선정받기 위한 접근 전략은 지역 맞춤형 발전 계획의 세심한 수립과 실행에 초점을 맞춥니다.

A등급 선정을 위해서는 인구 감소 문제에 대한 혁신적이고 통합적인 대응 방안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각 지자체는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정주 지원 정책을 핵심으로 삼아, 양질의 일자리 창출, 주거 및 생활 환경 개선, 그리고 지역 공동체와의 연결 강화에 중점을 둡니다.

첫째, 청년 창업지원과 일자리 창출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지역 내에서 경제 활동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청년들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둘째, 저렴하면서도 쾌적한 주거 환경 조성을 위해 '전남형 만원 주택'과 같은 프로젝트를 추진합니다.

주거비 부담 경감은 청년들의 지역 내 정착을 유도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셋째, 공공 산후조리원, 청년 비전 센터와 같은 생활 인프라 구축을 통해 청년들이 자녀를 기르고, 자신의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이러한 시설은 청년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며, 지역 사회와의 유대감을 높이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시군과의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전문가 컨설팅 지원 및 도·시군 공동 사업 발굴을 통해 지역 맞춤형 대응 전략을 수립합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해결책을 제시하고, 전라남도 전체의 지방소멸 위기 극복에 기여할 것입니다.

이와 같은 전략적 접근은 전라남도 기초 지자체가 A등급 선정을 위해 추구해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며, 지역 내 청년층의 정착과 지역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달리

#김용한컬럼 #김용한박사 #전라남도 #지방소멸대응기금 #청년정착지원 #만원주택 #청년비전센터 #공공산후조리원 #지역활성화 #인구감소대응 #지역경제활성화 #청년창업지원 #지방소멸위기극복 #지역사회발전 #지속가능한발전

Copyright@김용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