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한의 비즈니스 인사이트

비즈니스와 일상에서의 뉴스와 정보에 대한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탐색합니다!!

김용한 컬럼

⚡전통시장 고객센터 논란! 지역 주민과 고객 경험 개선을 위해 적극 활성화해야 한다!

김용한 2025. 2. 18. 11:12
반응형
 

전통시장은 단순히 물건을 사고파는 공간이 아니다. 지역 공동체의 중심이자, 서민 경제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는 공간이다.

이러한 전통시장을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 정부는 예산을 투입해 ‘전통시장 고객센터’를 많은 전통시장에 조성했다.

일반적인 전통시장 고객센터는 1층 고객센터, 2층 상인회사무실, 3층 상인교육장 및 고객 체험공간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당초 지원시의 용도는 1층은 고객센터와 배송센터, 고객 편의시설인 화장실 등을 배치하고, 3층의 상인교육장과 고객체험공간은 상인교육 외 고객들의 체험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오늘 뉴스로 위와 같은 전통시장 고객센터의 상인회 사무실 등 상인회 전용 사용 문제가 이슈화되었다.

뉴스의 요지는 고객의 편의를 높이기 위한 시설이 정작 시장을 찾는 고객보다는 상인들의 회의 공간이나 일부 특정인의 전용 공간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것이다.

과연 그럴까?

상인회 독차지라는 부분은 오해의 소지가 있어 보이고, 일부 화장실, 고객센터 등의 사용 문제는 일부의 상황으로 보이기도 한다.

당연히 지원시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객센터 전용이 아닌, 고객센터와 상인회 사무실 및 교육장, 고객체험공간 등 상인들의 조직역량 지원과 고객 편의 및 경험 개선의 종합적인 목적으로 지원한 것이다.

고객편의시설인 화장실 등의 사용을 막았다면 이는 문제가 당연히 존재하는 것이며, 고객센터, 배송센터, 고객휴게실 등은 각 전통시장에 따라 운영인력의 문제 등으로 운영이 여의치 않는 곳도 존재하는 상황일 것이다.


 

⚠️ 전통시장 고객센터, 왜 논란이 되는가?

뉴스의 요지는 전통시장 고객센터는 정부 예산을 투입해 고객 서비스 강화 및 편의 시설 제공을 목적으로 조성되었는데, 실에서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 상인회 사무실로 전용

고객센터가 고객보다는 상인회 관계자들의 공간으로 활용되며, 내부에는 상인들의 회의 테이블과 사무기기만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 고객을 위한 편의시설 부족

화장실, 수유실, 휴게 공간 등의 필수 편의시설이 부족하거나 운영 시간이 비효율적이어서 고객이 실질적으로 이용하기 어렵다.

✔️ 시장 이용 고객과 지역 주민의 접근성 제한

고객센터가 시장 방문객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특정 인원만 출입할 수 있는 폐쇄적인 구조로 운영되며, 실질적인 ‘고객 서비스’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는 결국 전통시장의 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시장을 찾는 고객들의 만족도를 저하시킨다.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조성된 고객센터가 오히려 시장의 매력을 감소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인조직 및 상인 역량 강화 지원, 고객 체험프로그램 운영 등 종합적인 부분이 포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장실 등의 사용 제한 문제는 정확한 사실 확인이 필요할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는 화장실을 개방하고 있으며, 고객센터의 경우 상담인력의 문제, 배송센터의 경우 배송인력 등으로 모든 시장이 운영하는 것이 아니다.


🔍 고객 중심 전통시장, 어떻게 변화해야 할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통시장의 입장에서는 활성화를 위해 고객센터의 운영 방식을 고민하는 과제가 존재할 것이다.

1️⃣ 고객 중심 운영으로 전환하라!

전통시장 고객센터는 고객을 위한 공간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운영 방식부터 철저히 개편해야 한다.

  • 고객 휴식 및 편의 공간으로 활용 확대
  • 고객센터 운영 활성화를 위한 대안 마련
  • 화장실 등 청결관리 개선

2️⃣ 고객 서비스 강화 및 고객 경험 개선을 위한 문화 프로그램 운영

고객센터가 단순한 휴게시설이 아닌, 전통시장 방문을 유도하는 공간으로 기능해야 한다.

  • 지역 주민과 고객이 참여할 수 있는 문화 행사 및 체험 프로그램 운영
  • 고객센터 내에 관광 안내소, 전통시장 추천 코스 안내 서비스 제공
  • 전통시장 상인과 고객 간 소통을 위한 ‘고객의 소리’ 게시판 운영

이처럼 고객센터를 고객 중심으로 개편하고, 지역 주민과의 연계를 강화한다면 전통시장은 보다 활기찬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다.


✅ 전통시장, 고객이 중심이 되는 변화가 필요하다!

전통시장은 지역 경제의 중요한 기반이다. 고객센터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전통시장을 찾는 고객들의 만족도가 떨어지고, 결국 시장 자체의 경쟁력이 약화될 수밖에 없다.

지금 필요한 것은 단순한 시설이 아니라 고객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이다. 전통시장 고객센터가 시장을 방문하는 모든 이들에게 열린 공간이 되어야 한다.

정부와 지자체는 단순한 시설 제공에 그치지 않고, 고객센터 운영 실태를 개선해야 한다. 그리고 지역 주민, 시장 방문객, 상인이 함께 어우러지는 공간으로 고객센터를 재구성해야 한다.

전통시장의 경쟁력을 높이려면, 고객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지금이 바로 변화의 기회다. 🔥


#전통시장 #고객센터논란 #시장활성화 #지역경제 #소상공인 #상인회 #전통시장개선 #고객서비스 #정부예산 #전통시장고객센터 #시장혁신 #지역사회 #공공시설 #시장고객경험 #소비자중심 #전통시장변화 #정부정책 #시장경쟁력 #고객만족 #시장발전 #지역상권 #김용한컬럼 #김용한박사 #김용한강사

📢 Copyright@김용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