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한의 비즈니스 인사이트

비즈니스와 일상에서의 뉴스와 정보에 대한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탐색합니다!!

김용한 컬럼

💰 "큰돈 벌었다"는 유튜브·SNS 수입 인증, 그대로 믿어서는 안 되는 이유

김용한 2025. 2. 13. 15:20
반응형
 

"유튜브로 한 달에 1억 벌었습니다!"

"인스타로 연봉 10억 찍었습니다!"

📢 유튜브, 인스타그램, 틱톡을 중심으로 '수익 인증' 콘텐츠가 넘쳐난다. 특히 유튜브 채널에서 애드센스 수익 공개나 SNS 마케팅으로 몇 억을 벌었다는 사례들이 사람들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하지만, 과연 이 모든 것이 사실일까?

혹시라도 이 콘텐츠를 보고 '나도 저렇게 벌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든다면, 한 번쯤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

오늘은 유튜브·SNS 수익 인증을 그대로 믿어서는 안 되는 이유와 그 이면에 숨겨진 진실을 낱낱이 파헤쳐보자!


1. 💻 "수익 인증" 스크린샷, 조작 가능하다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이 유튜브 애드센스 수익 인증 스크린샷이다.

특정 날짜의 애드센스 대시보드를 캡처하여 "한 달 수익 ○○원"이라는 식으로 공개하는데, 문제는 이것이 얼마든지 조작될 수 있다는 점이다.

아! 물론 진실하게 공개하는 분들도 있겠지만, 수익을 기반으로 강의팔이, 전자책, 투자 등을 권유한다면 의심하고 볼 일이다.

포토샵 조작 – 숫자 몇 개만 수정해도 거액의 수익을 만들어낼 수 있다.

검증 불가 – 계좌 입금 내역도 아니고, 유튜브 정책상 수익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은 금지되어 있어 신뢰도가 떨어진다.

일시적 수익일 가능성 – 특정 영상이 바이럴되어 하루 수익이 높게 나올 수도 있지만, 이것이 매달 유지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유튜브에서 바이럴된 한 개의 영상이 하루에 1천만 원을 벌었다고 해도, 채널 전체가 꾸준히 그 정도의 수익을 내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이 한 장의 스크린샷만 보고 "나도 유튜브 하면 저렇게 벌 수 있겠다"는 착각을 하게 된다.

 

2. 💸 SNS 수익 모델, 과장된 경우가 많다

"인스타그램으로 월 1억 벌었어요!"

"틱톡으로 하루에 몇 천만 원씩 벌고 있습니다!"

이런 말에 혹하는 사람이 많다. 특히 SNS를 활용한 리셀링, 광고 수익, 강의 판매 등을 강조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대부분 실제 수익과 차이가 크거나, 특정 상황에서만 가능한 수익이다.

🔹 과장된 광고 수익 – 인스타그램과 틱톡은 유튜브처럼 애드센스 같은 직접적인 광고 수익 모델이 없다. 대부분 협찬 광고나 상품 판매를 통한 수익인데, 실제 수익보다 부풀려서 말하는 경우가 많다.

🔹 리셀링·강의 판매 수익 – "SNS로 월 1억 벌었습니다"라고 말하는 사람들의 상당수는 '어떻게 돈을 벌었는가?'를 팔아서 돈을 번다. 다시 말해, 실제로 상품 판매나 광고로 벌었다기보다는 'SNS로 돈 버는 법'을 강의해서 수익을 내는 것이다.

🔹 일반인이 따라 하기 어려운 모델 – 많은 사람들이 "이 방법만 따르면 나도 벌 수 있다"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초기 자본, 마케팅 기술, 네트워크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SNS 수익 모델이 아예 거짓이라는 것은 아니지만,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다"는 식의 메시지는 상당히 왜곡된 경우가 많다.


3. 🏆 유튜브·SNS는 "성공 사례"만 강조한다

유튜브와 SNS는 기본적으로 주목을 받는 것이 목표인 플랫폼이다.

이 때문에 "나는 유튜브로 실패했습니다", "인스타그램으로 돈 못 벌었어요" 같은 콘텐츠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성공 사례만 필터링 – 수많은 사람들이 유튜브와 SNS에서 돈을 벌려고 시도하지만, 대부분은 실패한다. 그러나 우리가 접하는 것은 소수의 성공 사례뿐이다.

알고리즘의 영향 – 유튜브나 인스타그램은 사람들이 관심 가질 만한 콘텐츠를 추천하는데, 당연히 "큰돈을 벌었다"는 이야기들이 더 많이 확산된다.

실패한 사람들의 현실 – 유튜브 채널 개설 후 수익을 전혀 내지 못하는 사람들이 90% 이상이다. SNS를 이용한 판매도 제대로 매출이 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즉, 우리가 보는 것은 매우 제한된 성공 사례일 뿐이며, 이것이 마치 모든 사람에게 적용될 수 있는 것처럼 오해해서는 안 된다.

실제 계속해서 큰 돈을 번다면 수익 인증하지 않고 그 일에 몰두해 계속 돈을 벌지, 강의팔이, 전자책을 팔아 돈을 벌려고 할 필요가 있을까?

 

4. 🤔 "돈 버는 법"을 팔아서 돈을 버는 경우

SNS에서 "유튜브로 돈 버는 법", "SNS로 1억 버는 방법" 같은 광고를 본 적이 있는가?

이들의 상당수는 실제로 유튜브나 SNS로 직접 돈을 벌었다기보다는 "돈 버는 방법"을 팔아서 돈을 번다.

✅ 강의, 전자책, 컨설팅을 팔아서 수익을 내는 경우

✅ "SNS 자동 수익화 시스템" 같은 프로그램을 홍보하며 돈을 버는 경우

✅ 수익 인증을 이용해 사람들을 유입시켜 더 많은 강의를 판매하는 경우

즉, 우리가 생각하는 방식(영상 올려서 수익 얻기, SNS 운영해서 광고 수익 얻기)으로 돈을 번 것이 아니라,

"사람들에게 돈 버는 법을 팔아서 돈을 벌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5. 🚨 따라 하면 돈 벌 수 있을까? 현실적인 조언

유튜브나 SNS를 통해 성공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다음과 같은 점을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 장기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 한두 달 만에 큰돈을 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꾸준한 콘텐츠 제작과 브랜딩이 중요하다.

📌 모두가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 90% 이상의 사람들은 SNS와 유튜브에서 기대한 만큼 수익을 내지 못한다.

📌 쉽게 돈을 벌 수 있다는 말은 경계하라 – "이 방법만 따르면 누구나 성공한다"는 말은 조심해야 한다.

📌 진짜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라 – 수익 인증만 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를 설명하는 사람이 더 신뢰할 만하다.

📌 단순한 "수익 인증"에 현혹되지 마라 – 포토샵으로 조작된 스크린샷, 과장된 광고 수익, 단기적으로 얻은 수익을 일반화하는 말에 속지 말 것.

유튜브나 SNS에서 돈을 벌고 싶다면, 단순한 "수익 인증"을 믿기보다는 현실적인 전략과 검증된 방법을 찾아야 한다.

지금 당장 SNS에서 "수익 인증"을 보고 혹하고 있다면, 한 걸음 물러서서 다시 한 번 생각해보자!


#김용한컬럼 #김용한박사 #유튜브수익 #SNS마케팅 #인스타마케팅 #틱톡수익 #SNS수익모델 #유튜브광고수익 #온라인수익 #유튜브성공전략

Copyright@김용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