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긴 왜 아직도 비어 있지?”
신도시를 지나다 보면 텅 빈 상가 건물, 입주자를 찾지 못한 지 오래된 건물들이 눈에 띈다.
심지어 새로 지은 건물조차 공실이 일상이다.
그런데도 새로운 상가들은 계속 올라간다. 마치 수요가 끊임없이 존재하는 것처럼. 왜일까?
그 뒤에는 기형적으로 굳어진 도시계획과 공급 중심의 건축계획이 있다.
상업용 부동산 과잉공급, 이는 단순한 시장의 실패가 아니다.
공공과 민간이 함께 만든 구조적인 실패이며, 이제는 틀 자체를 바꾸지 않으면 안 되는 ‘도시의 위기’다.
1️⃣ 도시계획의 고장: 인구는 줄고, 상가는 늘어난다
한국의 인구는 감소하고 있다.
지방 도시는 물론 수도권까지도 인구성장의 정체 또는 역성장이 본격화되고 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상가는 계속해서 공급되고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도시계획이 여전히 ‘성장’을 기본값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시계획 수립 시, 지자체와 시행사는 예상 인구 증가를 기초로 상업용지 비율을 설정한다.
하지만 현실은 예상과 다르다. 인구는 줄거나 그대로인데, 공급계획은 10년 전 패러다임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다.
그러니 자연스럽게 공실률이 급등하고, 투자자와 임대인, 지역 상권이 함께 무너진다.

2️⃣ 건축 인허가 제도의 허점: 더 짓는 게 ‘합법’인 나라
현행 건축 인허가 제도는 실제 수요보다 ‘법적으로 허용되는 용도와 면적’을 기준으로 삼는다.
즉, 시장의 실수요보다 법의 프레임이 우선되는 구조다.
여기에 더해, 대부분의 민간 시행사들은 건축 후 분양 수익에 초점을 맞춘다.
상가 분양은 수요 기반이 아니라, 투자자 기반으로 팔린다. 개발사는 ‘팔고 끝’이다.
공실은 구매자의 문제이고, 임대료는 시장에 맡기면 된다는 논리다.
결국 상가를 운영할 ‘실제 사업자’가 아닌, ‘투자자’만 남게 된다.
이 구조 속에서는 새로운 상가는 ‘계획된 실패’가 된다.
매매는 되지만 운영은 안 되는 상가. 법은 이 과잉을 제어하지 못하고 오히려 방조하고 있다.
3️⃣ 도시기획의 목적이 사라진 도시들
도시란 기능이 조화롭게 구성돼야 한다.
주거, 상업, 문화, 공공의 균형이 유지되어야 지속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의 도시계획은 토지이용계획에서 ‘분양가 극대화’를 우선한다.
상업지역을 많이 만들면 단기 수익이 높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곳곳에 상업지역은 널려 있고, 실제로는 아무도 오지 않는다.
사람 없는 상가는 범죄와 슬럼화로 이어지고, 지역의 가치 전체를 훼손한다.
심지어 하나의 도시 안에서도 불균형은 극심하다.
A지구는 먹자골목이 포화 상태인데, 바로 옆 B지구는 한 집도 안 들어선 상업용지로 방치돼 있다.
이런 ‘기획 없는 기획’이 도시를 소모시키고 있는 것이다.

4️⃣ 바꾸자! 도시계획과 건축계획의 패러다임
지금 필요한 건 '수요 기반 도시계획'이다.
과거처럼 ‘공급이 곧 성장’이던 시기는 지났다.
이젠 인구, 경제활동, 이동 패턴, 상권 흐름 등을 정밀하게 분석해 실제 필요 기반의 공간만 공급해야 한다.
또한 건축계획 역시 ‘실제 사용하는 사람’을 중심에 놓아야 한다.
시행사 중심이 아닌, 운영자 관점에서 설계되고 허가되는 구조로 전환이 필요하다.
공공은 ‘건축 이전’ 단계에서부터 수요를 분석하고, 기준을 새롭게 정의해야 한다.
디지털 트윈, 빅데이터 기반의 도시 시뮬레이션, AI 기반 수요예측 등 기술은 이미 충분하다.
문제는 이것을 의사결정에 반영할 제도와 철학이다.
텅 빈 상가의 시대는 끝나야 한다.
이젠 ‘공간의 품질’이 도시의 미래를 결정한다.
📌 텅 빈 공간은 더 이상 기회가 아니다.
도시계획과 건축계획의 틀을 새롭게 리디자인하라!
지금 멈추지 않으면, 공실이 도시의 운명을 지배하게 될 것이다.

#김용한컬럼 #김용한박사 #김용한강사 #상업용부동산과잉공급 #도시계획실패 #상가공실문제 #건축계획개편 #도시슬럼화위기 #부동산공급과잉 #도시재설계 #인허가제도개선 #지역상권붕괴 #지속가능한도시계획 #수요기반정책 #텅빈상가문제 #상업지역포화 #부동산시장구조개선 #공급중심패러다임 #상권디자인 #도시공간리디자인
Copyright@김용한
'김용한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명문대 출신 창업가 '찰리 재비스'의 2,600억 사기극! 스타트업 ESG가 왜 중요한가? (0) | 2025.04.13 |
---|---|
상업용 부동산 과잉공급의 덫! 텅 빈 상가가 말하는 진짜 위기는 무엇인가? (0) | 2025.04.13 |
소상공인마케팅강사 컬럼 : AI시대 소상공인, 자영업마케팅은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 (4) | 2025.04.11 |
소상공인마케팅강사 컬럼 : 소상공인, 자영업 마케팅 강의는 왜 쉬워야 하나? (2) | 2025.04.11 |
백종원의 더본코리아, 잇따른 논란… 시스템의 문제인가? 개인의 일탈인가? (0) | 2025.04.09 |